정보

법의학 용어

대한국민 2010. 10. 16. 12:14


질병용어(감정서)

간경화(肝硬化) liver cirrhosis → 간경화증,간경화
섬유증을 수반하는 실질 세포의 파괴, 소결절을 형성하는 재생 등을 특징으로 하는 간의 만성 질환.

간성뇌장애 hepatic encephalopathy → 간성뇌장애
간기능 장애에 수반된 심한 신경 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치명적인 합병증.

간신성증후군 hepatorenal syndrome → 간콩팥증후근
콩팥의 병리적 변화 없이 나타나는 기능적 콩팥기능상실, 소변감소, 요중 저나트륨 농도 등이 간경화증, 복수 및
폐쇄 황달에 동반되는 것.

간종대(肝腫大) hepatomegaly → 간비대
간이 커지는 것.

간질(癎疾) epilepsy → 간질
유발되지 않은 발작이 2회 이상 재발되는 경우.

감염성심내막염 infective endocarditis → 감염심내막염
미생물 특히 세균 및 진균, 때에 따라서는 스피로헤타, 리케차 등의 미생물 감염에 의한 심장 내막의 염증.

갑상선기능저하증 hyperthyroidism → 갑상샘기능저하증
여성에게 많으며, 기초 대사율의 감소, 권태감, 무기력, 추위에 대한 민감성 및 월경 이상 등의 증세가 나타남.

갑상선기능항진증 hypothroidism → 갑상샘기능항진증
갑상샘 가능이 과도하게 활동하고 있는 상태로 기초 대사의 증가, 갑상샘종, 자율 신경계의 장애 등의 증세가
나타남. ‘그레리브 병(Graves disease)’이라고도 함

겸상적혈구빈혈 sickle cell anemia → 낫적혈구빈혈
유전적인 용혈 빈혈로서 이상 혈색소증의 하나이며, 흑인에게서 주로 나타나고 혈액에 낫적혈구가 있는 것이
특징임.

경막상출혈(硬膜上出血) epidural hemorrhage → 경질막바깥출혈
출혈이 일어나 혈액이 머리뼈 내판과 경질막 사이에 고인 것.

경막하출혈(硬膜下出血) subdural hemorrhage → 경질막밑출혈
경질막과 거미막 사이로 출혈이 고인 것.

경막하혈종(硬膜下血腫) subdural hematoma → 경질막밑혈종
경질막밑 출혈은 흔히 혈종을 형성하므로 경질막밑 혈종이라고도 함.

경부연조직(莖部軟組織) cervical soft tissue → 목물렁조직
목에 있는 근육, 힘줄, 혈관, 신경 등의 뼈와 물렁뼈를 제외한 조직을 말함.

경부장기(莖部臟器) cervical organ → 목장기

경화(硬化) consolidation,curing,hardening,induration → 굳음
단단하게 굳음.

고혈압(高血壓) hypertension → 고혈압
혈압이 정상보다 높음.

골다공증 oeteoporosis → 골다공증,뼈엉성증
뼈의 병적 희박화로서 나이 많은 사람에게 가장 흔히 볼수 있으며, 통증, 신장의 감소와 같은 뼈의 변형 및 병적
골절을 수반함.

골막하출혈(骨膜下出血) subperiosteal hemorrhage → 뼈막밑출혈
뼈를 둘러싼 뼈막과 뼈 사이의 출혈.

골수염 osteomyelitis → 골수염
골수염은 뼈에 생기는 염증으로, 혈액을 통해 염증이 파급되는 급성 골수염과 뼈의 수술, 외상과 동반된 골절에 의해
생기는 만성 골수염이 있음.

골절(骨折) fracutre → 골절
뼈 부러짐.

공기색전 air embolism → 공기색전
혈액 중에 질소 등의 기체방울이 생기는 것을 말함. 기체방울이 생겨 피 흐름을 막는 현상.

관상동맥경화(冠狀動脈硬化) coronary sclerosis → 심장동맥경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동맥(관상동맥)이 죽종에 의하여 딱딱해지며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으로, 심장에 만성 허혈 변화를 초래함.

괴사(壞死) necrosis → 괴사
세포 또는 조직이 생활력을 잃고 죽은 상태.

괴사후성간경화(壞死後性肝硬化) postnecrotic cirrhosis → 괴사후간경화증
독성이나 바이러스의 간염으로 비교적 광범위한 간세포 죽음 뒤에 일어나는 간경화증.

괴혈병(壞血病) scurvy → 괴혈병
비타민 C가 모자라서 생기는 병. 기운이 없고, 잇몸이나 피부 등에서 피가 나며 빈혈을 일으킴.

구루병 rickets → 구루병
비타민 D 결핍이 원인으로 정상의 뼈 만들기에 장애가 생긴 것으로, 특히 젖먹이, 유아에게서 자주 볼 수 있음.

급성간부전(急性肝不全) acute liver failure → 급성간기능상실
전격 바이러스 간염과 아세트아미노펜,할로탄,사염화탄소,독버섯 등의 약물 또는 간 독소에 의해 간 기능의
80~90%가 소실된 상태.

급성담낭염(急性膽囊炎)acute cholecystitis → 급성쓸개염
쓸개즙의 배설에 장애가 생겼을 때, 혈액이나 창자에서 세균의 감염을 방아 일어나는 쓸개의 염증.

급성세뇨관괴사(急性細尿管壞死) acute tubular necrosis → 급성뇨세관괴사

급성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 급성콩팥기능상실
대사물을 배설하는 콩팥의 기능이 없거나 정상적인 섭취를 하는데도 전해질을 유지할 수 없을 때를 말하며,
고칼륨혈증 및 폐부종을 동반하는 요독증과 소변감소 혹은 무뇨를 보임.

급성심장사(急性心腸死) sudden cardias death → 급성심장사
자신이 알거나 모르거나 관계없이 이미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서 급성증상이 일어난 후에 심장이 원인이 되어 예기치
않게 죽는 것을 말함. 증상이 나타난 후 죽을 때까지의 시간은 1~24시간으로 다양함.

급성주정중독(急性酒酊中毒) acute spirit intocication → 급성알코올중독

급성충수염(急性蟲受炎) acute appendicitis → 급성막창자꼬리염
막창자 꼬리에 일어나는 염증. 흔히 맹장염이라고 하나 이것은 잘못된 용어임.

급성췌장염 acute pancreatitis → 급성이자염
갑작스러운 복통, 구역질 및 구토를 특징으로 하는 이자염.

급성호흡부전 acute respiratory failure → 급성호흡기능상실
비정상적으로 동맥혈의 산소 분압이 낮거나 또는 비정상적으로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게 지속되는 상황.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s → 기관지확장증
기관지의 만성적 확장으로 악취 호흡, 기침 방작, 점액 및 농성 물질의 객출을 특징으로 함.

기흉(氣胸) pneumothorax → 공기가슴증,기흉
가슴막 공간에 공기가 들어가 허파가 오므라든 상태.

긴장성기흉 tension pneumothorax → 긴장공기가슴증
공기가 가슴막공간으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가슴막공간 내에 양압이 생겨 세로칸을
반대측으로 밀어 붙여 호흡 곤란을 초래하는 공기가슴증.


난산(難産) difficult labor, distocia, dysticia → 난산
해산이 순조롭지 못하여 어렵게 아이를 낳음.

낭종(囊腫) cystoma → 낭종,혹
정상 또는 비정상적 상피로 내면이 덮힌 공간 또는 주머니로 액체 또는 반고형물질을 포함함.

노인성치매(老人星癡?) senile dementia → 노인치매
노년에 의식이 장애 없이 병전의 지식 수준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 기능 장애 및 정서 장애, 성격 장애 등을 보이는
증후군을 말함.
 
농(膿) pus → 고름
세포와 농장의 묽은 액으로 구성된 염증 산물.
 
농양(膿瘍) abscess → 고름집
세균의 침입으로 신체의 조직 속에 고름이 괴는 증세.

농흉(膿胸) phothrax → 가슴고름집,농흉
가슴막 공간에 고름이 차는 병.
 
뇌부종(腦浮腫) cerebral edema, brain edema → 뇌부종
머리뼈 안에 액체의 과잉 축적. 외상, 종양, 독물이나 산소 결핍에 의한 모세혈관 투과성 증대 등이 원인임.

뇌사(腦死) brain death → 뇌사
뇌줄기를 포함한 뇌 전체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로서 개체사망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음.

뇌실질내출혈(腦實質內出血) intracerebral hemorrhage → 뇌내출혈, 뇌속출혈
뇌 실질 내에 일어나는 출혈.
 
뇌출혈(腦出血) cerebral hemorrhage → 뇌출혈
뇌 실질의 출혈.

뇌혈관질환(腦血管疾患) cerebrovascular disease → 뇌혈관병
뇌혈관이 파열하거나 막혀서 생긴 병의 총칭.

늑골골절(肋骨骨折) rib fracture → 갈비뼈골절

늑막유착(肋膜癒着) pleural adhesion → 가슴막유착 가슴막의 염증에 의한 섬유화로 가슴막 안쪽과 바깥쪽이 붙은
것.

다방성골수증 multiple myeloma → 여러곳골수증 혈질 세포의 악성 종양으로서 보통 골수에서 일어나며 뼈 파괴,
병적 골절, 뼈 통증 등의 증상을 나타냄.

담즙울체(膽汁鬱滯) cholestasis → 쓸개즙정체 쓸개즙 호름의 정지 또는 억제.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당뇨병 탄수화물을 산화하는 기능이 여러 가지 정도로 장애된 대사성 질환으로, 보통
이자,특히 랑게르한스 섬의 활성 저하와 그 결과 발생하는 인슐린 기구의 장애로 인해 발생함.

대결절성 간경변(大結節性 肝硬便) macronodular cirrhosis → 큰결절간경화증 큰 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간경화증.
독성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아급성간괴사 후에 생기는 간경화증.

대동맥관협착증 acrtic stenosis → 대동맥관협착증 심장의 대동맥판막구멍에 있는 구멍이 좁아진 것.

대동맥류 aortic aneurysm → 대동맥자루 대동맥의 벽이 확대 이완되어 형성되는 주머니.

대동맥박리(大動脈剝離) aortic dissection → 대동맥박리 대동맥을 이루는 3층 가운데 중간 막이 변하여 벌어짐.
동맥 혈액이 들어가 터지게 되면 위험한 질환.

대엽성폐렴(大葉性肺炎) lobar pneumonia → 엽폐렴 한 엽의 거의 전부 또는 여러 엽이 동시에 감염된 폐렴으로
80~95%가 폐렴사슬알균에 의한 급성 열병. 갑작스럽게 열이 난 후에 오한이 오고, 호흡 곤란,가슴 옆의 통증,
혈액이 섞인 가래가 나오는 기침 등이 일어남.

도수정복(徒手整復) closed reduction → 폐쇄골절교정 절개하지 않고 골절을 복원하는 것.
 
동맥경화(動脈硬化) arteriosclerosis → 동맥경화 혈관에 주로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따위의 지방성 물질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을 잃게 되어 동맥이 딱딱해지는 현상.

동맥류(動脈瘤) aneurysm → 동맥자루 동맥의 벽이 약해져서 늘어남으로써 형성되는 주머니.

두개골골절(頭蓋骨骨折) skull fracture → 머리뼈골절

두개골절제술(頭蓋骨切除術) craniectomy → 머리뼈절제

두피절개(頭皮切開) → 머리덮개절개

라이증후군 reye’s syndrome → 라이증후군 소아에게 드물게 볼 수 있는 급성뇌증. 저혈당증에 수반된 뇌종창,
간의 지방변성, 간 종, 의식장애, 경련발작 등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증세를 말함.

만성허혈성변화(慢性虛血性變化) chronic ischemic change → 만성허혈변화 만성적인 산소 부족에 의해
일어나는 조직학적 및 형태학적 변화.
 
미란(靡爛) erosion → 까짐

미주신경억제(迷走神經抑制) → 미주신경억제 미주 신경 전달 자극을 중단하는 것. 흔히 갑작스러운 심장 정지
현상이 나타남.

발작(發作) attack bout → 발작 어떤 증상이 갑자기 일어나는 것.

백혈병 leukemia → 백혈병 조혈기의 암으로서, 혈액, 골수에 백혈구가 증가하고 그 전구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특징임.

범발성복막염(汎發性腹膜炎) panperitonitis → 범목막염 광범위한 복막에 염증이 생긴 것. 흔히 소화기 계통의
염증이나 파열로 생김.

병변(病變) lesion → 병터 질병의 과정 또는 결과로 나타난 형태학적 변화. 병리적 변화나 외상을 받은 조직 또는
기능이 상실된 조직의 부분.

병인성(病因性) morbific → 병에의한, 병인성

복막염(腹膜炎) peritonitis → 복막염 복막에 염증이 생겨 혈청,섬유소,세포,고름 등이 복막 내로 삼출하는
상태로서,복통,누름 통증,변비 구토 밑 중등도의 발열이 동반됨.

부종(浮腫) edema → 부종 세포 사이의 조직 공간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액체가 존재하는 것.

부종상(浮腫狀) → 부은

비대(肥大) enlargement → 비대

산후출혈(産後出血) postpartum hemorrhage → 분만후출혈 출산 후 곧바로 일어나는 출혈.
 
삽관술(揷管術) cannulation → 도관술,삽관술 카테터나 도관(導管)을 이용하여 몸 속 공간의 액체를 도출하기 위한
시술.

선암종(腺癌腫) adenocarcinoma → 샘암종 샘조직에서 생기는 암종 또는 암 세포가 샘 조직으로 인식되게
형성되는 암종.
 
선천성기형(先天性畸形) →congenital anomaly 선천기형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신체적인 또는 기능적인 기형.
 
성인호흡장애증후군(成人呼吸障碍症候群) →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ne 성인호흡곤란증후군 여러 원인
또는 알 수 없는 원인으로 급격히 생긴 심한 호흡 곤란, 잦은맥,청색증 및 산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저산소증 등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능부족 증세.
 
세동제거(細動除去) defibrillation → 잔떨림제거 전기 쇼크에 의하여 심방이나 심실의 잔떨림을 치료하는 행위.

소화성궤양 peptic ulcer → 소화궤양 산성 위액의 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식도, 위 또는 샘창자(십이지장)점막의
궤양.

수두증 hydrocehalus → 물뇌증(수두증) 머리 내에 액체가 이상하게 저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상태로 머리의
확대, 이마부위의 돌출, 뇌 실질의 위축, 지능 장애, 경련 등을 수반.

수포(水泡) bleb,water blister → 물집
 
식도정맥류 esophageal varix → 식도정맥류 문맥압이 높은 환자에서 혈액이 역류하여 식도아래쪽 문맥가지와
식도정맥이 연결되는 가지가 확대되고 구불구불하게 되는 것을 말함.

식물상태(植物狀態) vegetable state → 식물상태 식물 인간이라고도 하며 뇌줄기 기능의 일부가 살아 있으나,
대외의 기능은 정지된 상태.

신경교종 neuroglioma → 신경아교종 신경아교 조직으로 된 종양.

실조(失調) malfunction,disharmony → 기능장애 복합적인 기능이 조화를 잃음.

심근경색(心筋梗塞) cardiac infarction or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심장 동맥에 혈전이 생기거나 심장
동맥경화증 때문에 순환 장애를 일으킬 때 흔히 발작적으로 나타남. 쇼크 상태가 되고 사망률이 높음.

심근병증(心筋病症) cardiomyopathy → 심장근육병증 원인을 모르는 심장 근육의 비염증 질환의 통칭임.

심부전(心不全) cardiac insufficiency, heart failure → 심장기능상실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에 장애가
있는 상태.

심실세동(心室細動) ventricular fibrillation → 심실잔떨림 심실 근육의 협동 수축이 없이 심장 근육 섬유의 빠르고
반복적인 흥분에 의해서 심실 근육에 잔 떨림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

심장병변(心臟病變) cadiac leision → 심장병터

심장압전(심장탐포네이드)(心臟壓塡) cardiac tamponade → 심장눌림증 심장을 둘러싼 심장막 공간으로 혈액
등이 고여 심장을 압박하는 상태.

심장질환(心臟疾患) heart disease → 심장병 심장에 발생한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정지(心停止) cardiac arrest → 심장정지

심판막증(心瓣膜症) vavular heart disease → 판막심장병 심장의 판막에 이상이 생겨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병.
 
아두골반불균형(兒頭骨盤不均衡) cephalopelvic disproportion → 머리골반불균형 태아의 머리가 임신부의
골반보다 큰 상태.

악성빈혈 pernicious anemia → 악성빈혈 혈액 속에 큰적혈모세포가 다수 나타나는 빈혈로서, 소아에게도
나타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나타나며 히스타민 내성의 위산 결핍증을 특징으로 함.
 
안상색전(증)(鞍狀塞栓(症)) saddle embolism → 안장색전증 폐동맥이나 대동맥에서 동맥이 나뉘는 부위에 생긴
색전증.

안상전자(鞍狀栓子) saddle emboli → 안장색전

양수과다(소)증 hydramnios,oligohydramnios → 양수과다(소)증 양수량은 정상적인 임신 과정 중 36주까지 약
1000ml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며 그 후에는 감소함. 그러나 분만 예정일 초과 시에는 수백 ml 혹은 그 이하로
떨어짐. 2000ml 이상을 양수 과다증이라 함.

양수대량흡인증후군(羊水大量吸引症候群) massive amniotic fluid aspiration syndrome →양수대량흡인증후군
태아가 자궁 속에서 호흡 중추가 자극되어 심호흡을 하면서 많은 양의 양수를 흡입하여 생기는 현상.

양수색전증 anmiotic fluid embolism → 양수색전증 임신 말기쯤에 자궁의 강한 수축에 의하여 양수가 모체의 혈액
순환 중에 유입되어 일어나는 색전증.

열사병 heat stroke → 열사병 체내에서 생산된 열을 적절히 발산시키지 못하여 고체온증에 빠져 일어나는 전신
장애.
영아돌연사증후군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영아돌연사증후군 평상 시 건강하던 아이가 예상하지 못한
가운데 돌연히 죽는 원인 불명의 죽음.

용혈(溶血) hemolysis → 용혈 적혈구가 파괴되는 현상. 예를 들어 수혈자와 공혈자 사이에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수혈자의 항체와 도움체가 수혈된 혈액을 공격하여 일어나는 면역 반응이 있음.

울혈성심부전(증)(鬱血性心不全(症)) congestive heart failure → 울혈심장기능상실 신체의 조직이나 장기가
필요한 만큼의 혈액을 공급할 수 없을 정도로 심장 기능이 저하된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말하며, 심근의 수축력이
감소하거나 과도한 압력이나 양적인 부담이 심장에 부과될 때 발생함.

원발성쇼크(原發性쇼크) vagogenic shock →부착, 붙음 서로 떨어져 있어야 할 피부나 막 등이 염증으로 달라붙은
상태.

의식장애(意識障碍) cognitive disorder → 의식장애

일사병sun stoke → 일사병 머리에 태양 광선이 장기간 직접 작용하여 일어나는 일시적인 의식장애.

자궁내번증 inversion of the uterus → 자궁안쪽번짐 자궁 저부쪽에 착상되어 있는 태반을 분리시키기 위해 탯줄을
강력하게 잡아당겼을 때 자궁 뒤집어짐이 일어남.

자궁무력증 uterine atony → 자궁무력증 분만 직후 자궁은 급격히 수축하여 자궁 내에 노출된 혈관을 압박하고
곧이어 혈전을 형성하여 지혈됨. 분만 후 자궁이 충분히 수축하지 않으면 대량의 출혈이 유발되는 경우.
 
자궁외임신 ectopic pregnancy → 자궁외임신 수정된 배아가 자궁 이외의 부위 즉 배안, 자궁관 등에 착상하는
경우.

자궁태반종중 uteroplacental apoplexy → 자궁태반졸증 중증의 태반 조기 박리에서 혈액이 자궁 근층과 자궁
장막하로 광범위하게 유출되는 현상.
 
잔류태반(殘留胎盤) retained placenta → 잔류태반 태반의 일부가 자궁 내에 잔존하는 것으로, 산욕기 말기에
대량의 출혈을 유발하거나 자궁출혈의 원인이 되며 감염의 위험성이 높음.

잠함병(잠수병) caisson disease, decompression sickness → 잠수병(감압병) 감압병은 높은 압력의 작업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환임. 예를 들면 잠수 시 질소는 수중에 체류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체내에 용해하여
축적됨. 이 축적된 질소는 해면으로 복귀할 때 서서히 조직에서 해리되어 체외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대기압으로
복귀하는 속도가 한계치를 넘어서게 되면 체내에 질소의 기포를 생성하게 되어 감압병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증상들을 유발하게 됨.

장간막동맥혈전증 arteriomesenteric thrombosis → 창자간막동맥혈전증 장자간막 동맥에 혈전이 생성되는 것.

장폐쇄증(腸閉鎖症) ileus → 창자막힘증 창자 운동이 멎거나 나빠져서 병터근위부의 확장을 동반함. 즉, 창자가
막히는 것.

재생불량성빈혈 aplastic anemia → 재생불량빈혈 특이적인 항빈혈 요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반응이 없는 빈혈.
저산소증 hypoxemia → 저산소혈증 혈액 중에 산소가 부족하여 나타나는 증세.

저체온증 hypothermnia → 저체온증 저온, 특히 조직의 대사 감소에 의하여 발생한 저체온 상태.

적색간변기(赤色肝變期) red hepatizeation → 적색간되기 폐렴의 경과에서 굳어진 조직이 혈액이 많아져 붉게 돼어
간과 같은 덩어리로 변형된 것.

적격성간염 fulminant hepatitis → 전격간염 바이러스 간염의 한 형으로 대부분의 간 세포가 괴사되어 죽는 것.

죽종판(粥腫板) atheroma → 죽종판 지방의 침착으로 동맥 내막이 두꺼워 지고 동맥을 좁히는 덩어리.

지방색전증 fat embolism → 지방색전증 지방이 혈액 순환에 들어가는 것을 의해서 생김. 특히 커다란 뼈의 골절
후에 일어남.
 
지주막하출혈(蜘蛛膜下出血) subarachnoid hemorrhage → 거미막밑출혈 뇌의 거미막(지주막)밑 공간에 생긴
출혈.

진구성(陳久性) old → 오래된(성질)

진구성 심근경색(陳久性 心筋硬塞) old myocardial infarction → 오래된심근경색

전구성두개골절제술흔(陳久性頭蓋骨切際術痕) → 오래된머리뼈절제술자국

진구성반흔(陳久性瘢痕) old scar → 오래된 흉터

진구성병변(陳久性病變) old leision → 오래된 병터

진구성욕창(陳久性慾瘡) old bedsore → 오래된눌림창

진탕아증후군(震湯兒症候郡) shaken baby syndrome → 흔들린아이증후군 아이를 세차게 잡아 흔들면
경질막밑출혈 및 또는 거미막밑출혈, 뇌 손상, 망막 출혈, 골절 등의 손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흔들린아이
증후군이라고 함.

진폐증 pneumoconiosis → 진폐증 폐에 다량의 먼지가 항구적으로 침착함으로써, 조직 반응을 일으키는 병터.

천식중적상태(喘息重積狀態) status asthmaticus → 천식지속상태 천식이 삽자기 심하고 지속적으로 악화된
상태로서, 호흡 곤란이 오고, 극도의 피로와 허탈에 빠질 정도로 되며 통상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게 된 상태.

청장년급사증후군 sudden msnhood death syndrome → 청장년급사증후군 청장년에서 보는 원인불명의 내인성
급사를 말함. 즉 청장년이 갑자기 사망하여 철저한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사인이 될 만한 내인이나 외인을
입증할 수 없는 죽음.

초로성치매(初老性癡 · ) presenile dementia → 노인치매

췌염(膵炎) pancreatitis → 이자염, 췌장염 이자의 급성 또는 만성 염증으로 , 알코올 중독이나 쓸개길 질환의
합병으로 일어나는 수가 많음.

탈구(脫臼) dislocation → 어긋남, 전위, 이탈 뼈마디(관절)가 접질리어 어긋남.

태내질식(胎內窒息) → intrauterine asphyxia → 자궁내질식 분만 직전 또는 분만 중에 태아에게 발생되는
저산소증.

태반조기박리 abruptio placentae → 태반조기박리 태아 분만 전에 태반이 착상 부위로부터 분리되는 것.

파열(破裂) rupture → 터짐, 파열 짜개지거나 갈라져 터짐.

파종성 혈관내응고병증 (播種性 血管內凝固病症)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 파종혈관내응고
원인 질환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혹은 만성의 혈액 만성의 혈액 응고기전 장애.

폐결핵(肺結核)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 결핵균이 허파에 침입하여 생기는 만성질병.

폐기종 emphysema → 폐공기종

폐농양 lung abscess →폐고름집(폐농양) 조직의 붕괴에 의하여 생긴 고름이 허파 속에 국소적으로 고인 것.

폐동맥판협착증(肺動脈辦狹窄症) pulmonic stenosis → 허파동맥판막협착증, 폐동맥판협착증 허파와 오른심실
사이의 판막 구멍이 좁아짐.

폐렴(肺炎) pneumonia → 폐렴,허파염 폐렴균의 침입으로 일어나는 허파의 염증. 오한 · 고열 · 기침 · 호흡 곤란을
일으킴.

폐성심(肺性心) cor pulmonale → 허파심장증 허파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는 병 때문에 이차적으로 오른심실이
커지는 심장 질환.

폐수종(肺水腫) pulmonary edema → 폐부종 허파꽈리에 물이 고여 붓는 병.

폐포내출혈(肺胞內出血) intraalveolar hemorrhage → 허파꽈리속출혈
 
폐혈전색전증(肺血栓塞栓症) pulmonary thromboembolism → 허파혈전색전증 혈전이 원발 부위로부터 떨어져
혈류에 의해서 허파에 운반되어 허파의 혈관을 막는 현상.

피학대아증후군(被虐待兒症候郡) battered child syndroma → 매맞는아이증후군 자기의 자식 또는 자기의 보호에
있는 아이를 적극적 또는 소극적 방법으로 학대하는 행위를 말하며, 이러한 학대 때문에 아이에게 나타나는 소견을
모두 매 맞는 아이 증후군이라고 함.

핍뇨(乏尿) oligu · 핍뇨(乏尿) oliguresis → 소변감소증 수분 섭취량에 비해서 오줌 배설량이 감소된 것.

해면상혈관종(海綿狀血管腫) cavernoma → 해면종 혈관의 양성 종양으로, 주로 어린이에게서 생기고 심부조직이나
간, 지라, 이자 혹은 죄에서도 볼 수 있고 조직학적으로 경계가 분명하지만 피막은 없고 큰 해면상 내강은 혈액으로
차있음.

허혈성병변(虛血性病變) ischemic lrision → 허혈병터

허혈성심장질환(虛血性心腸疾患) ischemic heartdisease → 허혈심장질환, 허혈심장병

혈관내응고병증(血管內凝固病症) intrvascular coagulation → 허혈심장질환, 허혈심장병 다양한 질환으로
돌발적이거나 또는 잠행성으로 미세 순환계에 수많은 섬유고 혈전이 생길 수 있으며, 곧이어 활발하게 섬유소 용해가
일어나고 출혈이 나타남.

혈복(血腹) hemoperitoneum → 혈액복막 배속에 피가 고인 상태.

혈성액(血性液) → 피섞인액체

혈소판감소자반병 thrombocytopenic purpura → 혈소판감소자반병 현소판 수의 감소로 인한 조직 내출혈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혈종(血腫) hematoma → 혈종 출혈이 고여서 덩어리를 형성하여 혈종이라고 함. 혈관벽이 터져서 혈액이 장기,
조직 또는 공간의 한곳에 고여 있는 것, 대게 핏덩이를 이루고 있음.

화농성폐렴(化膿性肺炎) purulent pneumonia → 고름폐렴 다량의 고름 가래를 뱉어내는 특징을 가진 폐렴.

확장성심근증(擴張性心筋症) dilated cardiomyopathy → 확장심장근육병증 점진적인 심방과 심실의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의 질환. 신실확장, 수축기 수축 기능장애 그리고 가끔 울혈 심장 기능 상실이 있는 증후군으로
대개 경과가 진행되고 예후가 나쁘게 나타남.

회색간변기(灰色肝變期) gray hepatization → 회색간되기 폐렴의 진행 과정에서 염증이 기질화하여 적색 간되기
후에 단단하고 옅어지는 현상을 말함. 즉, 허파가 회색을 띠고 간처럼 단단하게 변형되는 현상.

횡골절(橫骨折) transverse fracture → 가로골절 뼈의 긴축에 직각으로 생기는 골절.

후두경축(喉頭經縮) laryngeal spasm → 후두연측 액체가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 기전으로 후두
연축이 일어나 일반적으로 일시적 또는 간헐적으로 일어남.
 
후발성 뇌졸중(後發性腦卒症) delayed apoplexy → 지연 뇌중풍 외력에 의하여 혈관이 손상을 받았으나 파열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후일 파열되는 경우. 손상을 받은 후 며칠 있다가 나타나는 뇌중풍을 말함.

흉강삽관술(胸腔揷管術) thoracostomy → 가슴창냄술, 흉강개구술 기체 또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가슴벽을
통하여 관을 삽입하는 시술.
 
흉곽동요(胸廓動搖) flail chest → 동요가슴 여러 개의 갈비뼈 골절로 인하여 숨을 쉴 때 이상하거나 기이한
움직임이 나타나 심한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현상.

흉선임파특이체질(胸腺淋巴特異體質) status thymicolymphaticus → 가슴샘림프특이체질 림프 체질과 유사한
상태로서, 일반적으로 림프 조직과 가슴샘이 비대되고 특히 가슴샘이 비대한 것으로 정상인으로서는 별로 문제되지
않는 경미한 자극에 의하여 비정상 반응을 나타내며 심한 경우에는 죽기도 함.






제3장 일반용어(감정서)

가격 (加擊) strike → 때림, 가격
간헐적 (間歇的) intermittent → 이따금
개대하다 (開大하다) open wide, put aside → 열다, 열어젖히다
거단하다 (鋸斷) saw → 자르다
경도 (輕度) slight → 약함
고도 (高度) severe → 심함


과굴곡 (過屈曲) hyperflexion → 과다굽힘
과신전 (過伸展) hyperextension → 과다젖힘
기관내삽관 (氣管內揷管) endotracheal intubation → 기관내삽관
기관절개술 (氣管切開術) tracheotomy → 기관절개술
기왕증 (旣往症) → 과거병력
기존질환 (旣存疾患) → 지병

나체 (裸體) a naked[nude] body → 알몸, 나체
내강 (內腔) lumen → 안
내경 (內徑) the inside diameter → 안지름
내경검사 (內景檢査) → 내부검사
내재 (內在) immanence, inherence → 내재
내적원인 (內的原因) internal cause → 내적원인


다발성 (多發性) multiple → 여러, 다발
담수 (淡水) fresh water → 민물
문신 (紋身) taootting → 문신
반사기능 (反射機能) reflex function → 반사기능
반점 (斑點) spot → 얼룩
복와위 (腹臥位) prone position → 엎드린자세
봉합(피부) (縫合) suture → 꿰맴
비후 (肥厚) thickening → 두꺼워짐
빈혈상 (貧血狀) anemic → 창백한


사상방 (斜上方) superiorly oblique → 비스듬한 위쪽
산도 (産道) birth canal → 출산길
선홍색 (鮮紅色) cherry-red → 선홍색, 빨간색
신체 (身體) body → 몸, 신체
실질상 (實質狀) parenchymal → 속찬, 실질상
실질장기 (實質臟器) solid organ → 속찬장기
심부체온 (深部體溫) core temperature → 몸 안 체온
심폐소생술 (心肺蘇生術)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
심혈 (心血) hearts blood → 심장혈액


아광역성 (亞廣域性) → 비교적 넓은 성질
아피 (鵝皮) goose flesh skin → 닭살
악액질 (惡液質) cachexia → 종말증
암적색 (暗赤色) dark-red → 암적색
앙와위 (仰臥位) supine position → 누운자세
액상 (液狀) liquid → 액체, 액상
액화 (液化) colliquation, liquefaction, synchysis → 액화, 연화, 용해
역류 (逆流) back flow → 거꿀흐름, 뒤흐름
연조직 (軟組織) soft tissue → 물렁조직
열감 (熱感) → 따뜻함
염수 (鹽水) brackish water → 소금물
오류 (誤謬) error → 이상, 오차
외막 (外膜) external coat → 바깥막
외표 (外表) periderm → 외표피
외표검사 (外表檢査) → 외표피검사
울혈 (鬱血) congestion → 울혈
울혈상 (鬱血狀) → 울혈모양
위축 (萎縮) atrophy → 위축
유동혈 (流動血) → 흐르는 피
응고상 (凝固狀) → 굳은 상태
응혈 (凝血) coagulum → 굳은피
이물 (異物) foreign body → 이물, 이물질
이완 (弛緩) relaxation → 풀림, 이완


자가융해 (自家融解) autolysis → 자가용해
자구력 (自救力) → 스스로 함
저온 (低溫) cold → 한랭, 찬
전신 (全身) whole body, ones whole being → 온몸
전연 (前緣) anterior margin, ventral margin → 앞모서리
전위 (轉位) transposition → 자리바뀜
점상 (點狀) → 점모양
점액 (粘液) mucus → 점액
정수 (靜水) stagnant, standing water → 고인물
종창 (腫脹) swelling → 부기, 종창
중등도 (中等度) → 중등도
중량 (重量) weight → 무게, 중량
지방적 (脂肪滴) lipid droplet → 지방방울, 기름방울
직장내온도 (直腸內溫度) rectal temperature → 곧창자온도


체위 (體位) positional → 자세, 체위
태변 (胎便) meconium → 배내똥, 태변
태위 (胎位) presentation (of the fetus) → 태아위치
팽만 (膨滿) inflation → 부품, 팽만
폐쇄 (閉鎖) closure, impatency → 닫힘
해수 (海水) sea water → 바닷물
허탈 (虛脫) collapse, prostration → 허탈, 기진, 피로
혈액침하 (血液沈下) → 혈액침전
혈행 (血行) blood circulation → 혈액순환
협부 (頰部) isthmus → 잘룩
협착 (狹窄) constriction, stricture → 협착
혼탁 (混濁) fog, opacity → 불투명, 혼탁
확장 (擴張) distention → 확장, 팽창, 늘림





제4장 해부학 용어

간(肝) liver → 간
갑상선(甲狀腺) thyroid gland → 갑상샘
갑상연골(甲狀軟骨) thyroid cartiage → 방패연골
갑상연골상각(甲狀軟骨上角) superior horn of thyroid cartiage → 방패연위뿔
갑상연골판(甲狀軟骨板) plate of thyroid cartilage → 방패연골판
거골(距骨) talus → 목말뼈
견갑간부(肩胛間夫) interscapular region → 어깨뼈사이부위
견갑골(肩胛骨) scapula → 어깨뼈
견갑상부(肩胛上部) suprascapular region → 어깨뼈윗부분
견갑하부(肩胛下部) infrascapular region → 어깨뼈아렛부위
견봉부(肩峰部) acromial region → 봉우리부위
경골(頸骨) tibia → 정강뼈
경동맥삼각(頸動脈三角) carotid triangle → 목동맥삼각
경막(硬膜) dura mater → 경길막
경부(莖部) neck region → 목부위
경수(硬水) cervical segment of spinal cord → 척수, 목부분, 목척수
경절흔(勁節痕) jugular notch → 목아래패임
경추(頸椎) cervical vertebrae → 목뼈
경추부(頸椎部) cervical vertebrae → 목뼈부위
고관절(股關節) hip joint → 엉덩관절
골반(骨盤) pelvis →골반
골반절(骨盤節) hip bone → 볼기뼈
공장(空墻) jejumum → 빈창자
관골부(冠骨部) zygomatic region → 광대부위
관상동맥(冠狀動脈) coronary artery → 심장동맥
관절돌기(關節突起) articular triangle → 관절돌기
교상정맥(膠狀靜脈) bridging vein → 연결정맥
구강(口腔) oral cavity → 입안
구부(口賦) oral region → 입부위
극돌기(棘突起) spinous process → 가시돌기
근삼각(筋三角) muscular triangle → 근육삼각
근육(筋肉) muscle → 근육
기관(氣管) trachea → 기관
기관연골(氣管軟骨) tracheal cartilages → 기관연골
기관지(氣管支) bronchus → 기관지
기도(氣道) airway → 기도
기도점막(氣道粘膜) airway mucosa → 기도점막
기시부(紀始部) origin → 이는곳
기절골(基節骨) proximal phalanges → 첫마디뼈


내경동맥(內頸動脈) internal carotid artery → 속목동맥
내과(內 · ) medial malleolus → 안쪽복사
내상완부(內上腕部) medial region of arm → 위팔안쪽부위
내측설상골(內側楔狀骨) medial cuneiform bone → 안쪽쐐기뼈
내측이두근구(內側二頭筋 · ) medial bicipital groove → 안쪽두갈래근고랑
뇌(腦) brain → 뇌
뇌교(腦橋) pons → 다리뇌
뇌동맥류(腦動脈溜) cerebral aneurysm → 뇌동맥꽈리
뇌막(腦膜) meninges → 뇌척수막
뇌막동맥(腦膜動脈) meningeal artery → 뇌막동맥
뇌실(腦室) ventricle → 뇌실
뇌저부동맥(腦底部動脈) basilar artery → 뇌바닥동맥
뇌척수액(腦脊髓液) cerebral vessel → 뇌혈관
뇌회(腦回) gyrus → 대뇌이랑
늑간근(肋間筋) intercostal muscle → 갈비사이근
늑골(肋骨) rib → 갈비뼈
늑연골(肋軟骨) costal cartilage → 갈비연골


담낭(膽囊) gallbladder → 쓸개
담석(膽石) biliary stone, gallstone → 쓸개돌
대구치(大臼齒) molar teeth → 큰어금니
대뇌(大腦) cerebrum → 대뇌
대뇌겸(大腦鎌) falx cerebri → 대뇌낫
대동맥(大動脈) aorta → 대동맥
대동맥판막(大動脈瓣膜) aorta vlave → 대동맥판막
대망(大網) → greater omentum → 큰그물막
대상회(帶狀回) cingulate gyrus → 띠이랑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 → 큰포식세포
대장(大腸) large interstine → 큰창자
대전자(大佺子) greater trochanter → 큰돌기
대퇴골(大腿骨) femur → 넙다리뼈
대퇴골경부(大腿骨頸) neck of femur → 넙다리뼈목
대퇴부(大腿部) thigh → 넓적다리
대퇴정맥(大腿靜脈) femoral vein → 넙다리정맥
대후두공(大後頭孔) foramen magnum → 큰구멍
도출정맥(導出靜脈) emissary vein → 이끌정맥
동맥압(動脈壓) arterial pressure → 동맥혈압
동정맥문합(動靜脈吻合) arteriovenous anastomosis → 동정맥연결
두개강(頭蓋腔) cranial cavity → 머리뼈안
두개골(頭蓋骨) skull → 머리뼈
두개관(頭蓋冠) calvaria → 머리덮개뼈
두개저(頭蓋低) skull base → 머리뼈바닥
두모(頭毛) hair → 머리털
두정골(頭頂骨) parietal bone → 마루뼈
두정부(頭頂部) parietal region → 마루부위
두정엽(頭頂葉) parietal lobe → 마루엽
두피( · 皮) scalp → 머리덮개
두피하( · 皮下) subgaleal → 머리덮개밑
둔구(臀鉤) gluteal region → 볼기


말절골(末節骨) distal phalanges → 끝마디뼈
맹장(盲腸) cecum → 막창자
무지구(拇指鉤) thenar eminence → 엄지두덩
미골(尾骨) coccyx → 꼬리뼈


방광(膀胱) urinary bladder → 방광
배면(背面) the back → 등
배부(背部) back region → 등부위
배중정부(背中正部) median back region → 척추부위
백질(白質) white matter → 백색질
복강(腹腔) abdominal cavity → 배안
봉합(縫合) suture → 뼈짜임
부신(副腎) adrenal cavity → 부신
비강(鼻腔) nasal cavity → 코안
비골(鼻骨) nasal bone → 코뼈
비골(緋骨) fibula → 종아리뼈
비공(鼻孔) nostrils → 콧구멍
비복부( · 腹部) calf → 장딴지부위
비부(鼻部) nasal region → 코부위
비장(脾臟) spleen → 지라, 비장
비장비대(脾臟肥大) splenomegaly → 지라비대, 비장비대


사골동맥(篩骨動脈) ethmoidal artery → 벌집동맥
삼각근(三角筋) deltoid muscle → 어깨 세모근
삼각근부(三角筋部) deltoid region → 세모근부위
상박골(上膊骨) humerus → 위팔뼈
상시상정맥동(上矢狀靜脈洞) superior sagittal sinus → 위시상정맥동굴
상악골(上顎骨) maxilla → 위턱뼈
상안와개(上眼 · 蓋) superior orbital wall → 눈확천장
상완(上浣) arm → 위팔
상지(上肢) upper limb → 팔
서혜부(鼠蹊部) Inguinal region → 샅굴부위
설골(舌骨) hyoid bone → 목뿔뼈
설골(舌骨大角) greater horn of hyoid bone → 목뿔뼈큰뿔
설근(舌筋) muscles of tongue → 혀근육
설첨(舌尖) apex of tongue → 혀끝
소뇌천막(小腦天幕) tentorium cerebelli → 소뇌천막
소쇄골상와(小鎖骨上窩) lesser supraclavicular fossa → 작은빗장위오목
소장(小腸) small intestine → 작은창자
소전자(小栓子) lesser trochanter → 작은돌기
소지구(小指鉤) hypothenar eminence → 새끼두덩
쇄골(碎骨) clavicle → 빗장뼈
쇄골대각(鎖骨上三角) supraclavicular triangle → 빗장위삼각
쇄골하동맥(碎骨下動脈) subclavian artery → 빗장밑동맥
수근골(手根骨) carpal bones → 손목뼈
수근배부(手根背部) back of wrist → 손목뒤부위
수배부(手背部) dorsu, of hand → 손등부위
수장(手掌) palm of hand → 손바닥
수지(樹脂) fingers → 손가락
수지골(手指骨) phalanx → 손가락뼈
슬(膝) knee → 무릎
슬개골(膝蓋骨) patella → 무릎뼈
슬관절(膝關節) knee joint → 무릎관절
슬와정맥(膝窩靜脈) popliteal vein → 오금정맥
승모판(僧帽瓣) left atrioventricular valve → 외방실판막, 승모판
신장(腎臟) kidney → 콩팥
심근(心筋) myocardium → 심장근육
심낭(心囊) the pericardium → 심장막
심와부(心窩部) epigastric region → 명치부위
십이지장(十二指腸) duodenum → 샘창자


악하삼각(顎下三角) subamndibular triangle → 턱밑삼각
안검(眼瞼) palpebra → 눈꺼풀
안검결막(眼瞼結膜) palpebral conjunctiva → 눈꺼풀막
안구(眼球) eyeball → 눈알
안면골(顔面骨) facial cranium → 얼굴머리뼈
안(眼面部) face → 얼굴
안와(眼窩) orbit → 눈확
안면부(眼窩部) orbital part → 눈확부위
안와하부(眼窩下部) infraorbital region → 눈확이래부위
외장골정맥(外腸骨靜脈) exterminal iliac vein → 바깥엉덩정맥
외측(外側) lateral → 가쪽
외측설상골(外側楔狀骨) lateral cuneiform bone → 가쪽꽤기뼈
외측이두근구(外側吏頭筋鉤) lateral bicipital groove → 가쪽두갈래근고랑
외하퇴부(外下腿部) lateral region of leg → 종아리가쪽부위
외후두융기정점(外後頭隆起頂点)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 바깥뒤통수뼈융기
요골(撓骨) radius → 노뼈
요부(腰部) lumbar region → 허리부위
요추골(腰椎骨) lumbar vertebrae → 허리뼈
우관상동맥(右冠狀動脈) right coronary artery → 오른심장동맥
유돌봉소(乳突蜂巢) mastoid air cell → 꼭지벌집
윤상연골(輪狀軟骨) cricoid cartilage → 반지연골
음부(陰部) genital region → 음부
이개(耳介) auricle → 귓바퀴
이개부(耳介部) auricular region → 귀바퀴부위
이공(耳孔) orifice of external acoustic meatus → 귓구멍
이관(耳管) auditory tude → 귀인두관
이부( · 部) mental region → 턱끝부위
이하삼각( · 下三角) submeltal triangle → 턱끝밑삼각


임파절(淋巴節) lymph node → 림프절


자궁(子宮) uterus → 자궁
장간막(腸間膜) mesentery → 창자사이막
장골(腸骨) ilium → 엉덩이뼈
장관(腸管) interstinal tract → 창자
장기(臟器) organ → 기관
장측흉막 (臟測胸膜) visceral pleura → 허파가슴쪽막
저면(底面) basis → 바닥
전경부(前頸部) front of neck → 목앞부위
전경삼각(前頸三角) anterior triangle of neck → 앞목삼각
전대뇌동맥(前大腦動脈) anterior cranial fossa → 앞머리뼈우묵
전대퇴부(前大腿部) front of thigh → 넓적다리부위
전두개와(前頭蓋窩) anterior cranial fossa → 앞머리뼈우묵
전두골 (前頭骨) frontal bone → 이마뼈
전두부 (前頭部) frontal region → 이마부위
전두엽 (前頭葉) frontal lobe → 이마엽
전면 (前面) anterior surface → 앞면
전방 (前方) anterior chamber → 앞방
전상완부 (前上 · 部) front of arm → 위팔앞부위
전슬부 (前膝部) front of knee → 무릎앞부위
전완배측부 (前腕背側部) back of forearm → 아래팔뒤부위
전완부 (前腕部) forearm → 아래팔
전완요측부 (前腕饒側部) front of wrist → 손목앞부위
전전완부 (前前完部) front of forearm → 아래팔앞부위
전족근 (專足筋) front of ankle → 팔목앞부위
전주부 (前 · 部) front od elbow → 팔오금부위
전하퇴부 (前下腿部) front of leg → 종아리앞부위
접형골 (蝶形骨) sphenoid bone → 나비뼈
정맥동 (靜脈洞) sinus od dura mater → 경질막정맥동굴
정맥류 (靜脈瘤) varix → 정맥류
제1중족골 (弟1中足骨) first metatarsal bone → 첫째발허리뼈
제부 (臍部) umbilical region → 배꼽
조흔 (爪痕) streak → 손톱자국
족골 (足骨) bone od foot → 발뼈
족근 (足筋) tarsus → 발목
족배부 (足背部) dorsum of foot → 발등
족지 (足趾) toes → 발가락
족지골 (足趾骨) phalanx → 발가락뼈
족척부 (足蹠部) sole of foot → 발바닥
종골 (踵骨) calcaneus → 발꿈치뼈
종골절 (從骨折) transverse fracture → 세로골절
좌골 (坐骨) ischium → 궁둥뼈
좌관상동맥 (左冠狀動脈) left coronary artery → 완심장동맥
좌전하행지 (左前下行枝) anterior interventricular branch → 앞심실사이가지
주관절 ( · 關節) elbow joint → 팔꿉관절
주상골 (舟狀骨) navicular bone → 발배뼈
중간설상골 (中間楔狀骨) intermediate cuneiform bone → 중간쐐기뼈
중뇌 (中腦) midbrain →중간뇌
중대뇌동맥(中大腦動脈) middle cerebral artery → 중간대뇌동맥
중두개와(中頭蓋窩) middle cranial fossa → 중간머리뼈우묵
중복부(中腹部) umbilical region → 배꼽부위
중수골(中手骨)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
중수골두(中手骨頭) head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머리
중수골저(中手骨?) base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바닥
중수골체(中手骨體) body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몸통
중절골(中節骨) middle phalange → 중간마디뼈
중족 (中足) metatarsus → 발허리
지절골(指節骨) phalanges → 손가락뼈
직장(直腸) rectum → 곧창자


척골(尺骨) ulna → 자뼈
척추골(脊椎骨) vertebra → 척추뼈
천골(薦骨) sacrum → 엉치뼈
천골부(薦骨部) sacral region → 엉치부위
천장관절(薦腸關節) sacroiliac joint → 엉치엉덩관절
총경동맥(總頸動脈) internal carotid artery → 속목동맥
추골동맥(推骨動脈) vertebral artery → 척추동맥
췌장(膵臟) pancreas → 이자, 췌장
측뇌실(側腦室) pateral ventricle → 가쪽뇌실
측두골(側頭骨) temparal bone → 관자뼈
측두부(側頭部) temparal region → 관자부위
측두엽(側頭葉) temporal lobe → 관자엽
측복부(側腹部) lumbar region → 옆구리부위
치골(恥骨) pubis → 두덩뼈
치아(齒牙) tooth → 치아, 이

 
폐(肺) lung → 허파, 폐
폐문부(肺門部) pulmonary hilum → 허파문
폐혈관(肺血管) pulmonary vessel → 허파혈관


하늑부(下肋部) hypochondriac region → 갈비아래부위
하복부(下腹部) pubic region → 두덩부위
하악골(下顎骨) mandible → 아래턱뼈
하연(下椽) inferior margin → 아래모서리
하퇴부(下腿部) leg → 종아리
하행결장(下行結腸) descending colon → 내림창자
항부(項部) nuchal region → 목덜미부위
해면정맥동(海綿靜脈洞) cavernous sinus → 해면정맥동굴
혈액뇌관문(血液惱關門) blood-brain barrier → 혈액뇌장벽
협부(頰部) buccal region → 볼부위
환추후두관절(環推後頭關節) atlanto-occipital joint → 고리뒤통수관절
환추후두막(環推後頭膜) atlanto-occipital membrane → 고리뒤통수막
회백질(灰白質) gray matter → 회색질
회선지(回旋枝) circumflex branch → 휘돌이가지
회장(回腸) ileum → 돌창자
횡격막(橫隔膜) diaphragm → 가로막
후경삼각(後頸三角) posterior triangle of neck → 뒤목삼각
후대퇴부(後大腿部) back of thigh → 넓적다리뒤부위
후두개(喉頭蓋) epiglottis → 후두덮게
후두개와(後頭蓋瓦) posterior cranial fossa → 뒷머리뼈우묵
후두골(後頭骨) occipital bone → 뒤통수뼈
후두부(後頭部) occipital region → 뒤통수부위
후두엽(後頭葉) occipital lobe → 뒤통수엽
후면(後面) posterior surface → 뒷면
후방(後方) posterior chamber → 뒤방
후상완부(後上腕部) back of arm → 위팔뒤부위
후슬부(後膝部) back of knee → 무릎뒤부위
후족근(後足筋) back of ankle → 발목뒤부위
후주부(後?部) back of elbow → 팔꿉뒤부위
후하퇴부(後下腿部) back of leg → 종아리뒤부위
흉강(胸腔) thoracic cavity → 가슴안
흉골(胸骨) sterunum → 복장뼈
흉골병(胸骨棅) manubrium of sternum → 복장뼈자루
흉골체(胸骨體) body of sternum → 복장뼈몸통
흉곽(胸廓) thorax, chest → 가슴우리
흉부(胸部) chest → 가슴부위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 sternocleidomastoid muscle → 목빗근
흉쇄유양근부(胸鎖乳楊筋部) sternocleidomastoid region → 목빗근부위
흉추골(胸椎骨) thoracic vertebrae → 등뼈
- 1st tracheal cartilage → 첫째기관연골
- occipital tiangle → 뒤통수삼각
- web of hand → 손샅

 

할창(割創) cleaver wound → 큰칼상처
비교적 무겁고 날의 폭이 넓으며 대개 자루가 달린 인기(刃器)로 내려쳤을 때 형성되는 상처.

현수점(懸垂粘) point of suspension → 매단점
끈을 고정시킨 점.

혈액흡인(血液吸引) blood aspiration → 혈액흡인
피를 흡인하는 것.

혈흉(血胸) hemothorax → 가슴속출혈
가슴 막 공간에 혈액이 고인 것.

화상사(火傷死) denth due to burns and scalds → 화상사
화상이나 덴상처로 인해 죽음에 이르는 것

화석태아(化石胎兒) → 석회침착태아
침연아에 석회가 침착 되어 형성되는 태아.

화재사(火災死) death due to fire → 화재사
그 시체가 불에 타든 않았든 간에 화재로 발생한 뜨거운 열이나 유독가스의 중독 등에 의한 사망을 이야기함.

화학적화상(化學的火傷) chemical burn → 화학화상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으로 부식이라고도 함.

활강계제(滑降係題) running noose → 움직올가미
매듭이 고정되지 않고 조이도록 만들어진 올가미. 교수형에 쓰는 형태.

흡인(吸引) aspiration, sucking, suction → 흡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식 단어 (bonn98님 블로그 글)   (0) 2011.03.04
법곤충학  (0) 2010.10.26
이색 재료로 음식 만들기  (0) 2010.07.28
1500년 전 가야소녀 복원  (0) 2009.11.25
당신이 마시는 커피는 공정무역커피입니까?  (0) 2009.11.13